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케이팝 이야기26

유럽의 거점 이탈리아 지중해의 열정이 가득한 나라, 이탈리아에 부는 한류 열풍! 고대 로마 제국의 유구한 역사와 예술을 기반으로 패션과 미식, 낭만이 있는 유럽의 문화 강국, 이탈리아! 이곳에서 K-POP은 물론 영화와 드라마, 음식 등 한국 문화가 인기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다.   2002년, 이탈리아에 한국의 이름이 각인되기 시작하였다. 이탈리아인들이 가장 좋아하는 스포츠인 축구, 그것도 월드컵에서 한국이 이탈리아를 격파하면서 이탈리아인들의 뇌리에 한국이 깊이 새겨지게 되었다.                                                     아리랑 TV 심플리 케이팝 ⓒ arirang     한류의 태동은 한국 영화에서 시작되었다. 2002년 이창동 감독의 ‘베니스 국제영화제’ 특별감독상, 2.. 2025. 2. 7.
세계에서 가장 행복한 나라, 덴마크에 상륙한 한류 북유럽으로 통하는 관문이자 행복과 복지의 나라, 덴마크에 한류의 바람이 강하게 불고 있다. 싸이의 ‘강남스타일’ 이후 BTS를 중심으로 한 K-팝의 세계적 성공에 힘입어 덴마크에서도 한류가 점차적으로 확산되어 가는 추세이다. 최근에는 K-팝 가수들의 안무를 커버하는 댄스 크루들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들을 주축으로 3~4년 전부터 코펜하겐 시내 광장에서 플래시 몹 형태로 50여 명의 덴마크 K-팝 팬이 다 함께 랜덤 댄스를 추는 모임이 주기적으로 개최되어 왔다.    2022년 12월에는 K-팝그룹 블랙핑크가 코펜하겐에서 유럽 투어 콘서트를 개최하면서 단시간에 1만 5,000석가량의 티켓이 매진되는 등 높은 K-팝 인기를 증명하였다. K-팝 외에도 한강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 〈채식주의자〉(20.. 2025. 2. 6.
K팝부터 K푸드까지... 유럽 강국, 독일을 사로잡은 'K-WAVE'! 한국 대중문화의 독일 진출은 영화로부터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1961년 강대진 감독의 영화 〈마부〉가 베를린 국제영화제에서 특별은곰상을 수상한 이래 2004년 김기덕 감독이 〈사마리아〉로 감독상을, 2007년 박찬욱 감독이 〈싸이보그지만 괜찮아〉로 알프레드 바우어상을 수상하면서 한국 영화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졌다. 특히 2020년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 오스카 4관왕, 2022년 홍상수 감독의 베를린 국제영화제 3년 연속 은곰상 수상, 박찬욱 감독의 〈헤어질 결심〉 칸 영화제 감독상 수상 등 우리 영화가 국제무대에서 크게 주목받으면서 영화는 독일에서 한국을 알리는 최고의 콘텐츠로 자리매김하였다.                                                        .. 2025. 2. 5.
중동 한류의 허브 아랍에미리트 1980년 수교를 맺기 시작해 경제 등 여러 분야에서 우리와 긴밀하게 협력하고 있는 나라 아랍에미리트!중동 지역 젊은이들 역시, 중동 지역의 보수적인 문화와는 다른 어느 정도 자유롭고 역동적인 문화를 찾는 경향을보이고 있다.   2000년대 초반 중동 지역에서는 드라마 〈가을동화〉,〈겨울연가〉, 〈대장금〉 등이 인기리에 방영되며 한류가 시작된 아랍에미리트! 지나치게 자극적이지 않으면서도 가족중심적인 한국 드라마는 중동 지역의 보수적인 문화와 조화를 이루며 공감대를 형성하였는데, 흥미진진한 스토리 구성과 세련된 드라마 세팅이 특히 인기를 견인하는 요인이었다.   드라마에 이어 흡인력 있는 댄스와 가창력을 겸비한 K-POP이 아랍에미리트(UAE) 여성들에게 큰 인기를 얻기 시작하여, 슈퍼주니어와 소녀시대, .. 2025. 2. 4.
동유럽 문화 중심지... 헝가리 속 한류 한류에 푹~ 빠진 헝가리! 동유럽 국가 중 한국이 가장 먼저 수교를 맺은 헝가리는 한국에 대한 관심이 유럽에서 가장 높은 국가에 속할 정도로 한류 열풍이 뜨겁다. 2008년 유럽 공중파 TV에서는 최초로 헝가리 국영방송국이 드라마 ‘대장금’을 방영한 후, 다수의 한국 드라마가 현지에서 큰 인기를 끌며 헝가리 한류의 주역이 되었다. 이후 K-팝, 영화 등 대중문화와 드라마로 시작된 전통문화 중심으로 한류가 형성, 확산되다 최근 BTS 등 한국 문화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 증가와 삼성과 SK 등 한국 대기업의 계속적인 헝가리 투자 확대, 2021년 한국과 헝가리 외교관계가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되고, 한-헝가리 교통 인프라 개선 등으로 양국 간 교류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헝가리 국민들의 한국 및 한국 문화에.. 2025. 2. 3.
영국, 한류 K-everything의 시대가 열리다 지금 영국은 그야말로 한류가 대세! K팝과 드라마에서 시작된 한류 열풍이 이제는 전 세계 사람들에게 한국의 ‘모든 것’을 사랑하도록 하는 효과를 내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그만큼 한국의 브랜드 자체가 경쟁력이 되고 있다는 의미다. 영국 매체 가디언은 이것을 두고 “K-Everything의 시대가 왔다”라고 보도하면서 한국 음식과 순수예술 분야에도 전 세계적으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지금 영국에는 거센 한류 바람이 불고 있다. 영국의 한류는 2012년 기점으로 태동해 2020년 전후로 더욱 발전하는 단계가 되었다. 한국 드라마 이 영국 넷플릭스 시청률 1위를 달성하는가 하면, 한국 소설, 웹툰 등은 영국 서점을 장악했고, 사람들은 케이팝과 댄스에 열광하고 있다. 이외에 한국어, 한국 식.. 2025. 2. 2.
반응형